떡밥위키
최근 변경
최근 토론
특수 기능
파일 올리기
작성이 필요한 문서
고립된 문서
고립된 분류
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
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
내용이 짧은 문서
내용이 긴 문서
차단 내역
RandomPage
라이선스
IP 사용자
216.73.216.107
설정
다크 모드로 전환
로그인
개인정보 처리방침 개정 안내
ARK: Survival Evolved/생물종/공룡
(r1 문단 편집)
닫기
RAW 편집
미리보기
==== [[테리지노사우루스]] (Therizinosaurus) ==== [anchor(테리지노사우루스)] ||<#ffffff><-4><tablealign=center>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800px-Therizinosaurus_Dossier.jpg|width=550px]] ||<-4><#ffffff> [[파일:therizinosaurus.png|width=300px]] || ||<#dddddd><-4> '''서류 이미지''' ||<#dddddd><-4> '''인게임 모델링''' || ||||||||||||||<bgcolor=#505050> '''{{{+1 {{{#ffffff 테리지노사우루스 }}}}}}''' '''{{{#ffffff Therizinosaur | ''Therizinosaurus multiensis'' }}}''' |||||||||||||| ||<|2> [[파일:external/hydra-media.cursecdn.com/Therizinosaurus.png|width=80px]] ||<bgcolor=#505050><|2> {{{#ffffff '''조련 여부'''}}} || 기절 조련 ||<bgcolor=#505050><|2> {{{#ffffff '''탑승 여부'''}}} ||<|2> [[파일:Generic_Saddle.png|width=20]] '''안장 필요''' [br] (레벨 69) ||<bgcolor=#505050><|2> {{{#ffffff '''수상 전투'''}}} ||<|2> 불가능 || || [[파일:Exceptional_Kibble.png|width=20]] 뛰어난 키블 || ||<rowbgcolor=#505050><|2><-2> {{{#ffffff '''능력치'''}}} ||<|2><-2> {{{#ffffff '''기본 능력치'''}}} ||<-3> {{{#ffffff '''증가량'''}}}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dddddd> '''보너스 능력치''' || ||<-2><#dddddd> [[파일:ARKHealth.png|width=20]] {{{#008888 '''체력''' }}} ||<-2> 870 || +174 || +5.4% || 0.07 || ||<-2><#dddddd> [[파일:ARKStamina.png|width=20]] {{{#008888 '''기력''' }}} ||<-2> 300 || +30 || +10% || || ||<-2><#dddddd> [[파일:Oxygen.png|width=20]] {{{#008888 '''산소''' }}} ||<-2> 150 || +15 || +10% || || ||<-2><#dddddd> [[파일:ARKFood.png|width=20]] {{{#008888 '''음식''' }}} ||<-2> 3000 || +300 || +10% || x0.15% || ||<-2><#dddddd> [[파일:ARKWeight.png|width=20]] {{{#008888 '''무게''' }}} ||<-2> 365 || +7.3 || +4% || - || ||<-2><#dddddd> [[파일:ARKMeleeDamage.png|width=20]] {{{#008888 '''근접공격력''' }}} ||<-2> '''52''' || +2.6 || +1.7% || +7% x17.6% || ||<-2><#dddddd> [[파일:ARKTorpidity.png|width=20]] {{{#008888 '''마비수치''' }}} ||<-2> 925 || +55.5 || - || +0.5 || ||<rowbgcolor=#505050><|2><-2> {{{#ffffff '''기본 속도'''}}} ||<-2> {{{#ffffff '''질주 속도 (기력 소모량)'''}}} ||<|2><-2> {{{#ffffff '''증가량'''}}} ||<|2> {{{#ffffff '''조련 추가이속'''}}} || ||<#dddddd> '''야생''' ||<#dddddd> '''길들인 후''' || ||<#dddddd> '''지상''' || 466 || 978.6 || '''1304.8''' ||<-2> || +1% || ||<#dddddd> '''수중''' || 300 || || ||<-2> || || ||||||||||||||<bgcolor=#505050> {{{#ffffff '''아종 여부'''}}} |||||||||||||| |||||||||||||| 괴상한 테리지노사우루스(모바일) |||||||||||||| ||||||||||||||<bgcolor=#505050> {{{#ffffff '''등장 맵'''}}} |||||||||||||| |||||||||||||| 아일랜드, 더 센터, 라그나로크, 익스팅션, 발게로, 크리스탈 아일[br]제네시스 파트 1, 제네시스 파트 2, 로스트 아일랜드, 피오르두르 |||||||||||||| ||||||||||||||<bgcolor=#505050> {{{#ffffff '''기타 정보'''}}} |||||||||||||| |||||||||||||| 생고기, 가죽, 고품질 생고기, 케라틴, '''테리지노의 발톱''' |||||||||||||| >'''Species''' >Therizinosaurus multiensis > >'''Time''' >Late Cretaceous > >'''Diet''' >Herbivore > >'''Temperament''' >Aggressive > >'''Wild''' >I'm not entirely sure how Therizinosaurus multiensis stays populated on the Island. It is surprisingly slow for its size, and is a solitary predator (so no pack to back it up). I suppose the fact that its sheer power rivals Tyrannosaurus is the only thing that allows this very aggressive medium-sized predator to thrive. The claws of Therizinosaurus are some of the most versatile biological tools I've encountered, as adept at removing trees and foliage from Therizinosaurus' path as they are at piercing the thick shells and hide of the Island's most defensive creatures if backed into a fight. > >'''Domesticated''' >A tamed Therizinosaurus is one of the most versatile mounts a survivor can have. It can be trained to use its claws brutally or delicately, allowing the rider to primarily harvest with enhanced efficiency the specific kinds of resources that he or she needs. And in combat, these same claws can pierce straight through the toughest armor. This flexibility more than makes up for its inability to carry the large loads of the Island's many herbivorous beasts of burden. >---- >'''[[헬레나 워커]]''' 긴 발톱으로 유명한 [[테리지노사우루스]]로, 머리가 좀 크고 측면에 깃털이 모자란 것을 제외하면 다른 공룡들에 비해서 현실과 꽤나 근접한 모습이다. 크기 역시도 현실과 비슷한 크기라서 작은 것은 아니나, 다른 생물들이 워낙 크기가 과장되어 있어 공룡 중에서는 그다지 커보이지 않는다. 국내에서는 줄여서 주로 "테리", 혹은 "테리지노(Therizino)" 라고도 부르며, 외국에서는 "Theriz" 라는 표기도 사용한다. ---- 숲 속이나 강가, 레드우드나 평원, 늪지, 설원 등 [[렉스(ARK: Survival Evolved)|생물 자체의 강력함과는 별개로]] 맵에 따라서 다양한 환경에서 꽤 자주 등장하는 생물로, 등장한 환경만 해도 나오지 않는 곳이 없는 수준이다. 다만 스폰 비율은 후술할 체감에 비해서 높지 않은 편이라 공물 등을 이유로 의도적으로 찾으려 할 때는 잘 안 보인다.[* 사실 맵에 따라 다르다. 아일랜드에서는 설원을 제외한 전 지역에서 스폰되는 대신 스폰 확률이 낮고, 라그나로크에는 제한적인 지역에서 꽤 흔하게 스폰되며, 제네시스 파트 2에서는 감염된 정원 전 지역에서 매우 흔하게 보인다.] 맵에 따라서 다르기는 하지만 [[랩터(ARK: Survival Evolved)|랩터]]나 딜로포, 카르노, 스피노 등과 함께 '''초보 플레이어를 곤란하게 만드는 주범'''이며, 실질적으로는 제한적으로 스폰되는 스피노나 익숙해지면 퇴치하기 쉬운 랩터보다 이런 경향이 더 심하다. 맵에 따라 다르지만 평원이나 숲, 강가에 스폰되어 초보 플레이어들의 활동 범위가 자주 겹치며, 선공형인 것은 물론, 후술할 특수 능력과 높은 스탯 탓에 플레이어와 플레이어의 생물, 심하면 집까지 썰렸다는 이야기가 흔히 나온다. 테리지노사우루스가 초식이라는 점을 들어 다른 초식 생물들처럼 순할 것이라고 착각하고 근처에 갔다가 죽는 경우도 존재한다. 또한 가까이라고 서술은 해 놓았지만 다이어 베어나 기간토피테쿠스 같은 좁은 범위가 아니라 랩터의 절반 수준으로 꽤나 넓어, 실질적으로 보이게 된다면 카르노나 랩터 같은 육식 생물과 유사하게 취급할 필요가 있다. 다만 스펙, 특히 공격력은 랩터나 카르노를 따위로 만드는 수준이기에 그냥 근처에 얼씬도 하지 않고 피하거나, 정 할 수 없다면 차라리 멀리 유인한 뒤 죽는 것이 좋다. 야생의 테리지노사우루스는 후술할 발톱 공격과 물기 공격을 사용한다. 속도도 길들인 이후에 비하면 느린 편이지만 일반적인 야생의 생물들 기준으로 빠르다. 이동속도도 느리지 않고, 어그로를 떠넘기면 다른 공룡들부터 물어뜯는 육식공룡들과 달리 걸리면 거의 끝까지 쫓아온다. 심지어 덩치는 중형인데도 생태계 상위 생물종 취급을 받아서 렉스 같은 최상위 포식자들을 제외한 대부분의 생물들은 테리지노를 먼저 공격해오지 않는다. ---- 테리지노사우루스를 조련하는 방식은 '''기절 조련'''으로, 다른 생물들과 마찬가지로 그냥 기절시키고 먹이를 주면 된다는 점에서 과정 자체는 큰 특징은 없으나, 테리지노 자체가 워낙 공격력이 높고 속도도 빨라 뛰어다니면서 조련하거나 다른 공룡으로 탱킹을 하기에는 벅차고, 테이밍장 구조물을 만든 뒤 유인해서 조련을 하거나, 그물 탄환으로 묶어둔 뒤 주변에 구조물을 쳐서 조련해야 한다. 가장 선호하는 키블은 뛰어난 키블로, 키블 사용 시 150레벨, 1배율 기준으로 20개가 소모되며, 42분 38초가 소요된다. 마비수치가 높지만 '''마비수치 소모 속도가 빠르기에''' 많은 양의 마취약이나 생체 독소는 꼭 가져올 필요가 있으며, 초식 생물 특성상 키블을 제외하면 효율이 낮기에 키블 역시 필수다. 렉스나 케찰 같은 생물을 잡아서 알을 구해 뛰어난 키블을 만들거나, 데이노니쿠스 알을 대량으로 서리하여 특별한 키블을 만드는 것이 좋다. ---- 조련된 테리지노사우루스는 크기는 이들에 비해 작지만 렉스나 스피노와 비슷한 수준으로 발군의 전투력을 자랑한다. 도감 설명상에는 느리다고 서술되어 있으나 13m/s로 렉스보다 빠른 것은 물론, 선회력 역시 뛰어나며, 대형 수각류들에 비해 준수한 기력 효율을 가지고 있다. 공격력이 굉장히 강력한데, 테리지노사우루스의 평타는 날카로운 발톱의 모습 때문인지 다른 생물들과 다르게 방어 상수가 0.4[* 다른 생물들의 경우 대체로 4. 낮을 수록 방어구의 영향을 덜 받으며, 높을 수록 많이 받는다. [[https://gall.dcinside.com/mgallery/board/view/?id=ark&no=17745|아크에서 방어도가 의미하는 것에 관한 글]]]로, '''방어구가 가진 방어도의 영향을 매우 적게 받는 생물 중 하나다.'''[* 도감 설명 역시 'And in combat, these same claws can pierce straight through the toughest armor.' 라는 표현으로 언급되어 있다.] 때문에 상대가 어떤 안장을 끼고 오든 최대한 해당 안장의 방어력을 무시하고 '''자신이 가진 공격력의 상당량을''' 박아 넣을 수 있다. 물론 안장 같은 방어구의 방어력만이 해당되는 것이기에 [[바위 정령]]이나, 광원 생물이 없는 상태에서의 [[리퍼(ARK: Survival Evolved)|리퍼]] 같이 생물 자체 방어력은 뚫을 수 없다. 또한 기본적으로 초식 생물인 만큼 '채집' 능력에 특화되어 있는데, 그 성능은 아크 내에서 손에 꼽을 정도로 높은 효율과 많은 가짓수를 가지고 있다. 초식 생물임에도 불구하고 발톱을 가지고 있다는 것을 반영하여 육식 생물들처럼 시체를 캘 수 있으며, 야생 개체 한정으로 시체 채집을 통해 '''회복하는 것도 가능'''하다. 길들인 테리지노사우루스는 세 가지 공격 방식을 갖고 있으며, 이를 통해 식물 오브젝트와 동물의 시체를 '''모두 채집 가능하다'''. 좀 더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채집 효율이 높은 자원은 볼드체 표기. * 좌클릭: 앞발톱 휘두르기 2번의 공격 판정이 존재하며[* 판정은 발톱을 휘두를 때마다 한 번씩 있지만 대미지는 한 번만 들어간다. 즉 한 번의 공격으로 동일 대상에게 대미지를 두 번 연속으로 넣을 수 없다는 것. 대신 먼저 휘두를 때 공격 범위 밖이다가 두 번째 휘두를 때 근접하면 공격이 먹힌다.] 상술하였듯 방어구 관통 효과가 있다. * 동물 시체: 생고기, 고품질 생고기, 생선살, 가죽, 털가죽, 키틴, 케라틴, 비단, 날 생선살 * 나무: '''목재''', 짚 * 기타 자원: 희귀 버섯, 유기 폴리머, 앵글러겔, 오일, 진주, 흑진주 * 우클릭: 앞발톱으로 쓸어담기 매우 낮은 피해량(5)를 가진다. * 동물 시체: 좌클릭과 동일 * 나무, 선인장 나무: '''짚''', 목재 * 풀: '''섬유''' * 늪지 풀: 희귀 꽃, 식물 X종 씨앗 * 늪지 나무: 희귀 버섯 * 스코치드 어스: 비단, '''희귀 꽃''', 희귀 버섯, 식물 Y종 씨앗 * C키: 물기 공격력의 절반에 해당하는 마비 피해를 입히며, 안장에 타고 있는 생존자에게도 피해를 준다. 석재 건축물에 피해를 입힐 수 있지만 원래 데미지의 5%만 들어간다. * 동물 시체: 가죽, 털가죽, 키틴 * 생선: 생선살 * 나무: 목재 * 풀: 베리, 베리 씨앗 * 선인장 나무: 선인장 수액 * 앵글러 피쉬: 앵글러겔 여기에 추가적으로 '''채집 능력들에 대한 성능 향상이 가능하다.''' 레벨업 스탯을 투자한 후 테리지노사우루스의 메뉴에 있는 채집 레벨(Harvesting Level)에서 섬세한 수확(Delicate Harvesting)과 힘찬 수확(Power Harvesting)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0.75%씩 그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 능력 향상은 해당 아이템의 획득 확률이 아니라 획득한 해당 아이템의 수량 자체에 영향을 주기 때문에 만약 73회의 레벨업을 전부 섬세한 수확에 투자할 경우 '''기본 수치의 1.54배나 되는 섬유와 열매를 얻을 수 있다.''' 이 외에도 초식이기 때문에 화염 대미지와 폭발 데미지 감소효과가 존재해 화염 와이번이나 드래곤의 공격, 불화살, 화염방사기 등의 공격으로부터 피해를 감소하여 받는다. 정리하면 테리지노사우루스는 전투, 채집 모두 가능한 다용도 생물이며, 크기도 적당하고 채집 능력과 전투력 모두 뛰어나기 때문에 PvP든, PvE에서든 잘 활용할 수 있는 생물이다. ---- 그러나 이런 완전체 같은 테리지노도 단점이 없는 것은 아닌데, 대표적인 단점들은 아래와 같다. * '''낮은 무게 수치''' 안킬로사우루스나 마그마사우루스, 다이어 베어 등의 다른 자원 채집용 공룡들과 비교하면 조금 낮은 정도이며, 채집 공룡이라면 있는 별도의 무게 감소 효과도 없다. 때문에 안장과 플레이어를 태우고 나면 여유분이 많지 않고, 엄청난 채집속도를 무게 총량이 따라가지 못한다. 특히나 이 점은 자원 중 무게가 높은 편에 속하는 목재를 채집할 때 체감되는 단점이다. 이 탓에 자원 채집 용도라면 케찰 등의 짐꾼을 추가로 데려가는 것이 좋다. * '''중대형 사이즈 취급''' 테리지노사우루스는 알로사우루스와 비슷한 중대형 사이즈의 생물로 취급되어[* 자체 무게가 '''250'''으로, 생태계에서의 취급과 별개로 덩치 그대로다.] 일반 와이번류와 보이드웜, 케찰에 집히며, Y종과 그물 탄환에 묶이므로 PvP에서 사용할 시 주의를 요하게 된다. 넉백 역시 그대로 받기에 스피노 같은 대형 생물들과 정면으로 붙으면 넉백 때문에 접근이 불가하다. 렉스 같은 생물에 비하면 체력이 낮은 편이기에 정면 싸움보다는 최대한 옆이나 뒤를 노릴 필요가 있다.또한 중형 생물이 받는 유티라누스 공포포효, 스턴생물에게 취약 같은 단점들도 그대로 수용하고 있기에 이 두 타입의 생물이 모두 나오는 테크동굴에서는 굉장히 사용이 힘들다. * '''특화된 것이 없는 채집 능력''' 광물류를 제외하면 뭐 하나 못 캐는 것이 없기는 하지만, 특정 자원의 경우 효율 면에서 특별히 다른 생물보다 뛰어나거나 독보적인 비율은 아니라는 점이다. 고기 채집용으로 쓰기에는 렉스나 기가노토사우루스와 같은 대형 육식동물이 효율이 훨씬 좋으며, 열매 채집 면에서는 브론토사우루스가 훨씬 잘 캐는 것은 물론, 제일 잘 캐는 섬유는 중요도나 소모량 자체가 다른 자원에 비해 낮은데다 고등급 철제 낫이나 다른 초식동물로 캐도 충분히 쓸 양은 나온다. * '''스폰 지역에 비해 너무 높은 안장 해금 레벨''' 안장이 67레벨에 해금되는데, 이는 게임을 한참 플레이해야 달성할 수 있다.다만 테리지노는 아일랜드, 라그, 센터에서는 초반지역에 흔하게 등장하지만, 어찌저찌 길들이더라도 탑승을 할 수 없어서 막상 전투 이외에는 사용을 할 수 없다.굉장히 다재다능한 테리지노의 특성상 생각보다 꽤 큰 단점. *''' 숲에서 전투가 불리''' 나무를 잘 채집하지만, 이는 숲에서 전투를 할 시 오히려 나무를 미친 듯이 채집하기에 전투가 불리해진다. 특히 전투용 테리지노의 경우에는 무게를 많이 투자하지 않는데,만약 나무를 전부 채집해서 무게의 한계 때문에 적이 도망가도 추적할 수 없거나 상대가 렉스,기가노토,바위정령,리퍼,스피노,플랫폼 안장 착용 가능 생물등 넉백이 좋다면 넉백으로 반격할 수도 있기에 넉백에 취약한 테리지노의 특성상 다 이긴 전투를 어이없게 질수도 있다. 따라서 테리지노는 무게가 빵빵하지 않다면 숲이나 늪지,레드우드에서의 전투는 자제해야한다. *''' 무게 감소 효과 없음''' '''중대형 사이즈 취급과 더불어 테리지노의 최고 단점.'''자원 채집 효율이 좋은데도 불구하고, '''자원의 무게를 그대로 받는다'''따라서 많은 양의 자원을 채집한다면 케찰이 없으면 기지 복귀가 힘들 수 있고,상술했듯 전투에도 불리해질 수 있다. ---- 가장 테리지노가 많이 쓰이는 분야를 찾자면 늪지대 탐험 및 가죽과 희귀 꽃 채집. 늪지대 특성상 맹그로브 나무가 무성해 크기가 큰 생물 탑승시 기동성에 큰 애로사항을 겪게 되는데 그렇다고 크기가 작은 생물은 대부분 늪지대에 활동하기에 애매한 전투력이거나 카프로수쿠스의 납치공격에 취약하다. 반면 테리지노는 카프로수쿠스 납치공격 회피는 물론 가죽과 희귀 꽃을 고효율로 채집하는 것이 가능하며, 전투력은 야생 공룡 상대로는 차고 넘치는 수준인데다 기동성도 뛰어나다. 이 외 많은 공룡을 굴리기 힘든 소규모 부족이라면, 특히 싱글에서는 테리지노 한 마리로 여러 가지 자원을 해결 가능하다는 것은 큰 장점이며, 저러한 단점들이 있다 하더라도 테리지노가 가진 이점이 훨씬 더 큰 것은 사실이다. PvP에서는 방어도 무시와 비교적 빠른 이동 속도 및 중형의 크기, 그리고 쪼기 공격이 적 탑승자를 공격하며 추가로 기절 수치를 올리는 장점 덕문에 훌륭한 공격수로 자리잡고 있다. 특히 동굴이나 좁은 지형에서 적 플레이어들을 상대로 사신같은 위력을 자랑하기 때문에, 대부분의 부족들이 입구가 좁은 동굴에서 거주하는 현 PvP 메타에서 매우 흔하게 사용되는 공룡 중 하나다. ---- 테리지노사우루스의 알은 뛰어난 키블의 재료가 된다.
요약
문서 편집을
저장
하면 당신은 기여한 내용을
CC BY-NC-SA 2.0 KR
또는
기타 라이선스 (문서에 명시된 경우)
로 배포하고 기여한 문서에 대한 하이퍼링크나 URL을 이용하여 저작자 표시를 하는 것으로 충분하다는 데 동의하는 것입니다. 이
동의는 철회할 수 없습니다.
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216.73.216.107)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
저장
사용자
216.73.216.107
IP 사용자
로그인
회원가입
최근 변경
[불러오는 중...]
최근 토론
[불러오는 중...]